-
요약 : 누구를 대상으로 할 지, 어떤 내용이 필요할 지
-
실험, 인터뷰, 설문 등이 필요할 듯
- 위 활동이 가능하다면 - 심층분석
- 조사 세부계획(별도)
세부계획
-
어려울 경우, 사례조사로 대체
-
어떤 정도가 필요한 지 - 현장에 적용할 만한 정도가 어떨지?
-
결과(물) : 어떤 소셜임팩트를 기대하는가?
- 만들어 놓으면, 계속 쓸 만할 것인가? (사후영향 관련 평가 : 사용빈도, 편의성 등)
- 무엇이 부족할 것인가
- 기존 사례들은 잘 작동하고 있는가? (로봇, 시스템, 앱 등)
- 현재 얼마나 쓰고 있는 지, 어떤지(실무진들의 의견, 느낌은)
- 사례는 꽤 찾아볼 수 있는 정도이지만, 현재까지 잘 쓰고 있는지
- 이후 보도가 없는 경우가 많아, 현장의 소리를 알기 어려움
- AI가 현장에 필요한가? 어떤 정도면?
- 몰라서 모를 수도 있음(AI를 접해보기 어렵거나, 인지하지 못함)
- 예산/인프라/인력 등 문제
- 현재 활용되고 있는 정도는? 실태조사?
-
적용 대상
- 약자, 노인, (사회복지인력)
- 어떤 사람들이 지원(혜택)을 받을 수 있는가
- 기준은? 구분? 등급별?
—> 대상을 명확화? 포괄적?
(참고) 법령상 취약계층의 개념과 권리 보장에 관한 연구

-
*** 어떤 것들이 필요한가? 실험? 인터뷰?
- 실제 모습, 소리, 현장에서 도움이 될 만한 것들
- 어떤 기술이 필요한가?
- 누가, 어떻게, 얼마나 필요한 지
- 무엇이 있었으면 좋겠는지
- 어떻게 쓰면 편리할 지
- 어떤 방향일 지?
- (업무)부담이 줄어들 것인지
-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인지
-
원하는 대로 기술 개발이 어려울 경우 (여러가지 (예상)문제)
-
만들어는 놓았는데, 막상 쓰지 않을 경우 (왜 쓰지 않는(못하는)지)
- 원하는 대로 해 준다 해도, 조건을 만족한다 해도, 잘 될 것인가?
-
활용할 AI기술
-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 행동, 패턴, 시간, 동작 관련
- 데이터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기능)
- 환경 : PC/APP
- Agent 수준 prototype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