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 누구를 대상으로 할 지, 어떤 내용이 필요할 지

    • 실험, 인터뷰, 설문 등이 필요할 듯

      • 위 활동이 가능하다면 - 심층분석
      • 조사 세부계획(별도)

      세부계획

    • 어려울 경우, 사례조사로 대체

  • 어떤 정도가 필요한 지 - 현장에 적용할 만한 정도가 어떨지?

    • MVP, prototype
  • 결과(물) : 어떤 소셜임팩트를 기대하는가?

    • 만들어 놓으면, 계속 쓸 만할 것인가? (사후영향 관련 평가 : 사용빈도, 편의성 등)
    • 무엇이 부족할 것인가
    • 기존 사례들은 잘 작동하고 있는가? (로봇, 시스템, 앱 등)
      • 현재 얼마나 쓰고 있는 지, 어떤지(실무진들의 의견, 느낌은)
      • 사례는 꽤 찾아볼 수 있는 정도이지만, 현재까지 잘 쓰고 있는지
        • https://blog.naver.com/yooncoms/223479491676
        • https://eiec.kdi.re.kr/publish/naraView.do?fcode=00002000040000100021&cidx=13750&sel_year=2022&sel_month=04
        • https://futuredrill.stibee.com/p/26/
        • https://futuredrill.stibee.com/p/66/
          • https://www.youtube.com/watch?v=G2J-z-SVarg
      • 이후 보도가 없는 경우가 많아, 현장의 소리를 알기 어려움
    • AI가 현장에 필요한가? 어떤 정도면?
      • 몰라서 모를 수도 있음(AI를 접해보기 어렵거나, 인지하지 못함)
      • 예산/인프라/인력 등 문제
    • 현재 활용되고 있는 정도는? 실태조사?
  • 적용 대상

    • 약자, 노인, (사회복지인력)
    • 어떤 사람들이 지원(혜택)을 받을 수 있는가
    • 기준은? 구분? 등급별?

    —> 대상을 명확화? 포괄적?

    (참고) 법령상 취약계층의 개념과 권리 보장에 관한 연구

    image.png

  • *** 어떤 것들이 필요한가? 실험? 인터뷰?

    • 실제 모습, 소리, 현장에서 도움이 될 만한 것들
    • 어떤 기술이 필요한가?
      • (어떤) 업무를 도와주는 agent
    • 누가, 어떻게, 얼마나 필요한 지
      • 무엇이 있었으면 좋겠는지
      • 어떻게 쓰면 편리할 지
    • 어떤 방향일 지?
      • (업무)부담이 줄어들 것인지
      •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인지
  • 원하는 대로 기술 개발이 어려울 경우 (여러가지 (예상)문제)

  • 만들어는 놓았는데, 막상 쓰지 않을 경우 (왜 쓰지 않는(못하는)지)

    • 원하는 대로 해 준다 해도, 조건을 만족한다 해도, 잘 될 것인가?
  • 활용할 AI기술

    •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 행동, 패턴, 시간, 동작 관련
    • 데이터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기능)
      • 환경 : PC/APP
      • Agent 수준 prototype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