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익명 1

콘텐츠 제목 '아.. 누구시더라..?' 나보다 빠르고 똑똑한 얼굴인식 만들기
피어 리뷰 결과 통과
콘텐츠의 장점 중요한 기술로 활용되고 있는 ‘얼굴 인식’에 대해 차근차근 잘 설명된 글 입니다. 특히 최초 투입 이미지부터, 디렉토리 구조 정의, 패키지와 주요 메서드 설명까지 초보자가 읽고 따라하기에 매우 적합한 Hierarchy를 보이고 있습니다. 더 나은 콘텐츠를 위해 아래 몇 가지 개선할 점을 제안드립니다.
개선할 점
(부연 설명이 필요한 부분, 줄여야 할 부분) 1. 사용 패키지 혹은 메서드 파라미터의 분명한 구분과 정의
  1. concept 간 Structure 정의
  1. 일부 표현 추가

| | 이슈가 되는 부분 (저작권, 윤리적 이슈 등) | - | | 사소하지만 개선되면 좋은 부분 | 1. (오타) 배열 형태로 “이우어져” → 이루어져 2. (사용 이미지) 잘생긴 태강님 사진을 보니 훈훈해집니다. Anchor와 Positive sample로 사용된 아라가키 유이는 랜덤으로 뽑힌건가요? ㅎㅎㅎ (아주 사소한 개인적 궁금증입니다.) | | 느낀 점 | 얼굴인식을 이용한 새로운 서비스와 성능 개선 알고리즘이 발표되고 있는 시점에 매우 흥미롭게 읽은 콘텐츠입니다. 가장 많이 쓰고 있는 아이폰 FaceID도 같은 원리로 작동하는 것인지, 만약 소개한 콘텐츠를 응용하면 FaceID와 유사한 성질, 성능을 보이는 모델이 구현가능한지 등이 궁금해요 :D |

👤 익명 2

콘텐츠 제목 '아.. 누구시더라..?' 나보다 빠르고 똑똑한 얼굴인식 만들기
피어 리뷰 결과 통과
콘텐츠의 장점 어려운 내용임에도 적절한 첨부 자료를 활용하거나 약간의 유머를 이용해 읽기 쉽게 풀어주셨습니다.
개선할 점
(부연 설명이 필요한 부분, 줄여야 할 부분)
[1] 저자가 직접 만드신듯한(?) 이미지를 첨부했는데, 이미지 아래 부분에 페이지 수는 안보이도록 제거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ex) Metric learning for face recognition 항목에서 나오는 첫번째 이미지(Facenet 관련)의 아래 부분에 24 페이지라고 적혀있습니다.

[2] 위에서부터 차례로 코드를 실행한다면, 처음 list_img 변수에 LFW 데이터셋을 넣어두는데, 바로 뒤에 내 얼굴 이미지로 list_img를 덮어씁니다. 마지막 내 얼굴과 가장 가까운 이미지를 찾는 부분에서 list_img에는 LFW 데이터셋이 아닌 내 얼굴 이미지가 있으므로 에러가 발생합니다. | | 이슈가 되는 부분 (저작권, 윤리적 이슈 등) | | | 사소하지만 개선되면 좋은 부분 | [1] 오타) “이우어져” → “이루어져”

[2] 글 후반부 내 얼굴이미지를 사용하는 부분에서는 ./images/my_face_*.jpg 를 사용하는데, 글 초반부에 적어주신 디렉토리 구조에는 ./images/image.jpg 파일만 쓰여 있습니다. | | 느낀 점 | 개인적으로 너무 좋아하는 글 스타일이에요 |

👤 익명 3

콘텐츠 제목 '아.. 누구시더라..?' 나보다 빠르고 똑똑한 얼굴인식 만들기
피어 리뷰 결과 통과
콘텐츠의 장점 적절한 독자층과 그에 맞는 컨텐츠입니다. 중간중간 재미요소들이 많아 읽기 좋았고 코드가 부담없는 분량으로 실행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개선할 점
(부연 설명이 필요한 부분, 줄여야 할 부분) 첫 안면인식 어떻게 만들까?에 이미지만 있는데 여기서 설명 한 줄이 추가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얼굴 인식Face reconition부터 글과 리스트가 조금 혼합되어 있는데 통일성을 조금 더 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슈가 되는 부분
(저작권, 윤리적 이슈 등) x
사소하지만 개선되면 좋은 부분 목차의 위계가 눈에 잘 안보입니다. h2, h3, h4가 눈에 잘 안띄니 숫자나 알파벳으로 순서를 더 명시적으로 표현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느낀 점 글의 가독성이 높고 난이도도 적절하여 재미있게 읽을 수 있어 좋았습니다. 단순히 논문 설명이 아닌 코드 실습도 매우 적절하게 들어가있어 실습에도 좋아보입니다. 커스텀 이미지에서 진행하여 정말 태강님만 할 수 있는 컨텐츠임이 더 강조되는 것도 있어 좋은 컨텐츠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