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제목 | Variational Inference |
---|---|
피어 리뷰 결과 | 통과 |
콘텐츠의 장점 | 제가 읽어본 변분 추론에 관한 웹 포스트중에 가장 쉽게 적힌 글이네요. 단순히 수식과 개념만 나열한 것이 아니라 여러 시각화 자료를 활용한 것이 좋았습니다. |
개선할 점 | |
(부연 설명이 필요한 부분, 줄여야 할 부분) | ‘중급’ 독자를 위한 글이라고 하셨는데, 변분 추론을 위한 선수 지식을 좀 더 구체화해서 글의 서두에 적어주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그렇게 되면 변분 추론에 관심을 갖고 새롭게 진입한 독자에게 더욱 친절한 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이슈가 되는 부분 | |
(저작권, 윤리적 이슈 등) | 없습니다. |
사소하지만 개선되면 좋은 부분 | 글의 마지막에 Reference 및 추천 학습 자료도 적어주시면 독자들에게 유용할 것 같네요. |
느낀 점 | 피어리뷰를 위해 여러번 읽으면서 참 노력이 많이 들어간 글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수식 및 시각적 자료도 과하지 않게 적당히 포함되어 있어서 이해하기 좋았습니다. 앞으로 작성하실 콘텐츠들도 많이 기대가 됩니다. |
콘텐츠 제목 | [머신러닝] 분포를 추정해서 손글씨를 만들어보자 |
---|---|
피어 리뷰 결과 | 통과 |
콘텐츠의 장점 | variational inference라는 어려운 주제를 잘 풀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글의 내용을 쌓아올리는 방식이 인상적이었고, 글에서 소개되었던 예시들도 좋았습니다. |
개선할 점 | |
(부연 설명이 필요한 부분, 줄여야 할 부분) | [콘텐츠 1] |
[콘텐츠 2]
[콘텐츠 2]
variational inference 예시 및 시각화콘텐츠 제목 | [머신러닝] 분포를 추정해서 손글씨를 만들어보자 |
---|---|
피어 리뷰 결과 | 통과 |
콘텐츠의 장점 | 왜? 가 많아서 좋았습니다. |
분포를 추정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VI가 생겨난 이유가 무엇인지 | |
같은 필요성을 언급해주어서 흥미로웠습니다. | |
개선할 점 | |
(부연 설명이 필요한 부분, 줄여야 할 부분) | |
이슈가 되는 부분 | |
(저작권, 윤리적 이슈 등) | 없습니다. |
사소하지만 개선되면 좋은 부분 | “마무리” 헤더가 수정되면 좋겠습니다. 간단하게 콘텐츠를 정리하거나 아예 “다음편 예고”같은 이름으로 바뀌면 좋겠습니다. |
캡션 이야기는 이미 나온 것 같아 넘어가겠습니다. | |
느낀 점 | 내용과 글의 흐름이 좋아서 통과입니다. |
다만 포맷팅이나 설명의 디테일에 신경쓰면 더 좋은 콘텐츠가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 |
개선할 점도 내용 자체를 추가하거나 빼거나가 아닌 아쉬운 디테일 지적입니다. |
두 가지 방법으로 최적의 parameter를 추정할 수 있다면 parameter의 분포에 대해 꼭 알아야 할까요? MLE와 MAP의 차이점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앞 문장과 뒷 문장이 호응하지 않습니다. “필요성을 알기 위해 먼저 MLE와 MAP를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같은 말로 바뀌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