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익명 1

콘텐츠 제목 딥러닝 전에, 알아보자 시계열 분석! - (2) 정상성(Stationarity), 들어봤니? -
피어 리뷰 결과 미통과
콘텐츠의 장점 차갑고 딱딱하게 쓰여진 글이 아니라, 옆에서 누군가 말로 가르쳐 주는 것 같아 어려운 내용임에도 이해하기 쉬운 글입니다.
개선할 점
(부연 설명이 필요한 부분, 줄여야 할 부분)
콘텐츠에 포함된 정상성의 개념, 정상성을 파악하는 방법, 정상성을 갖도록 변환하는 방법 등의 내용은 “정상성”이라는 키워드로 검색했을 때 나타나는 많은 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구성 및 내용으로 판단됩니다. 설명하는데 사용하신 이미지나 실험에 사용한 데이터 또한 많은 글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슈가 되는 부분
(저작권, 윤리적 이슈 등) -
사소하지만 개선되면 좋은 부분

[Chapter 0]

[Chapter 2]

👤 익명 2

콘텐츠 제목 딥러닝 전에, 알아보자 시계열 분석! - (2) 정상성(Stationarity), 들어봤니? -
피어 리뷰 결과 조건부통과
콘텐츠의 장점 stationary 개념을 설명해주는 좋은 글, python 예제 코드가 있어서 바로 실습해볼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개선할 점
(부연 설명이 필요한 부분, 줄여야 할 부분) - 강 정상성은 왜 현실에서 만족하는 경우를 찾기 힘든지 이유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 익명 3

콘텐츠 제목 딥러닝 전에, 알아보자 시계열 분석! - (2) 정상성(Stationarity), 들어봤니? -
피어 리뷰 결과 조건부통과
콘텐츠의 장점 시계열을 처음 익히는 독자를 타겟으로 수식에 압도되지 않도록 가지치기를 한 흐름이 좋았습니다.
개선할 점
(부연 설명이 필요한 부분, 줄여야 할 부분) 1. 같은 의미의 용어를 명시하면 좋겠습니다.
  1. Ch1에서 약 정상성의 수식을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면 좋겠습니다.
  1. Ch2에서 (h)와 (g)의 차이에 대해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좋겠습니다. h는 주기를 갖기에 계절성이고, g는 그렇지 않다는 점이 g와 h의 차이인데 그래프를 눈으로 봐서는 차이를 잘 모르겠습니다. 보조선 및 확대된 그래프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보조자료가 있으면 좋겠습니다. | | 이슈가 되는 부분 (저작권, 윤리적 이슈 등) | 없음 | | 사소하지만 개선되면 좋은 부분 | 1. Ch0에서 값을 Yt로 지칭했는데, 그 이후에 Xt로 식이 전개되어 혼선이 올 수 있어, X로 통일시키면 좋겠습니다.
  2. Ch0에서 “각 값이 서로 완전히 독립적이지 않다”로 수정하면 좋겠습니다.
  3. Ch2에서 시계열의 정상성을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는 내용을 두괄식으로 서술하면 좋겠습니다.

PD의 피드백

  1. ch1. 강정상성의 정의를 조금 더 쉽게 정의하면 어떨까요? 적률의 개념이 공부를 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어려운데, 적률을 이용해 강정상성의 정의를 내리니까 강정상성의 의미가 와닿지 않아요. 마찬가지로 강 정상성은 왜 현실에서 만족하는 경우를 찾기 힘든지에 대한 이유가 명확하게 와닿지 않습니다.
  2. 위키피디아 캡쳐한 부분은 그대로 가져오고 출처를 밝히면 어떨까 싶어요. 미디엄으로 옮길 때 해보려고 하는데 어떠신가요?
  3. 이전 글은 미디엄 콘텐츠로 대체할게요.
  4. 기댓값 E(X), 분산 Var(X), 공분산 Cov(X), 처음 언급할 때는 이런식으로 한글과 수식을 같이 써주면 어떨까요?
  5. ch2. 정상성이 뭔지는 알겠는데, 정상적인 시계열은 도대체 어떻게 판단할 수 있지? 어떻게 생긴거야? → 독자의 관점에서 적으신 것 같아 따옴표 처리하고 인용 표시를 넣겠습니다.
  6. ch2. 정상적 시계열은 생김새부터 다르게 생겼습니다. → “정리하자면 정상적 시계열은 비정상 시계열과는 생김새부터 다르게 생겼습니다”로 문구를 조금 추가하면 어떨까요? 어떤 것과 생김새가 다른 것인지 비교 대상이 필요할 것 같아요.
  7. ch3. 피어리뷰에도 언급되어 있지만 kpss 와 adf 검정의 결과가 어떻게 나와야 정상 시계열인지 살짝 언급해주시면 어떨까요? ch3에서는 귀무가설과 사용방법만 나와 있어서 “검정을 통해 정상성 판단하기”라는 제목과는 걸맞지 않은 것 같아요. 검정 방법을 소개한 후 결과가 어떻게 나와야 정상 시계열임을 보여줘야 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