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목표
문제의 발견
- 수혜자는 본인에게 필요한 Social Service에 대한 정보를 찾기가 어렵다.
- 정보의 적절성 : 본인이 수혜가 가능한 사업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취사 선택하기 어렵다.
- 정보들이 여러 기관, 여러 채널에 흩어져 있다.
- 여러 사업들의 공고가 통합적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많은 정보 속에서 수혜 대상에게 필요한 (대상 사업의) 정보를 선별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 정보의 적시성: 사업 공고 기간, 지원 시기 등에 맞춰 지원이 필요한 시기에 도움되는 정보를 찾기 어렵다.
주요 마일스톤
- User Voice 듣기
- Social Service 제공 측면 (흥기님…?)
- Social Service 소비자 측면
- 수혜자의 입장 (저소득층, 노인, 아동, 구직하는 사람.. 등)에 따라서도 다를 것 같음
- 기술 리서치
- MVP 구현..?
- 구현 요소들

- 기존 service/ dataset/ DB 조사
- Testcases (사용자 query) 수집
- 연령/복지분야/지역 등등의 소비자 scope 확정
- MVP implementation may be more accessible to IT-friendly 젊은세대 (부양청년/ 성학대 여성 등)
- 실제 혹은 생성 케이스
- 복지전문가를 통한 정답 수집
- 전문가가 정답을 생성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사용되는 resource (DB등) 파악
- 수집된 정답 : (사용자 Query, 전문가 정답)을 Ground-truth로써 chatbot output을 평가하는데 활용
- Chatbot : 다양한 구조의 RAG system을 테스트* (아래 참조)
- Evaluation : 정답과 Chatbot 응답의 유사도를 간단하게 비교
- 눈으로
- ROUGE : literal overlap
- Embedding score : semantic similarity
- RAGAS score: recall/precision of sentences using LL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