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익명 1

콘텐츠 제목 기업은 가치를 키워야하니까요!
피어 리뷰 결과 조건부통과
콘텐츠의 장점 나무보다는 전체적인 관점에서 숲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의 콘텐츠라 좋았습니다.
개선할 점
(부연 설명이 필요한 부분, 줄여야 할 부분) - 생산비용, 거래비용, 효용 등의 의미에 대한 설명 필요

👤 익명 2

콘텐츠 제목 기업은 가치를 키워야하니까요!
피어 리뷰 결과 조건부통과
콘텐츠의 장점 콘텐츠에서 다루는 내용들이 알고 있다면 정말 좋지만, 막상 평소에 잘 찾아보지 않는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이 분야에 대해 흥미를 갖게 되고, 관련 내용에 대해 더 찾아보고 싶게 만드는 콘텐츠입니다.
개선할 점
(부연 설명이 필요한 부분, 줄여야 할 부분) - “데이터 리터러시가 없는 ~~ “ 부분에서 데이터 리터러시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함께 있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기업의 탄생]

[3. 기업 활동의 발전]

[4. 기업 활동의 진화]

👤 익명 3

콘텐츠 제목 기업은 가치를 키워야하니까요!
피어 리뷰 결과 조건부 통과
콘텐츠의 장점 기존 기술 블로그에서는 볼 수 없었던 재미있는 소재의 글입니다. 또한 풀어내듯 말하는 문체에서 초기 지식을 가지고 있다면 유용한 컨텐츠입니다.
개선할 점
(부연 설명이 필요한 부분, 줄여야 할 부분) 전체적으로 구어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비해 문단이 길어 가독성이 조금 떨어집니다.
한 문장에 담고 있는 내용이 3개 이상인 경우 문장을 분절하여 작성하면 더 깔끔한 글이 될 것 같습니다.

[1. 기업의 목적] 기본적인 영단어는 괄호로 표현하지 않고 그냥 쭉 한글로 작성해주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내용 자체는 충분해보입니다.

[2. 기업의 탄생] 각 비용에 대한 설명이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빵을 예시로 들었으니 조금 더 빵을 판매하는데 왜 이런 비용이 드는지를 설명을 추가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거래비용, 생산비용, 효용, 편익에 대해서 언급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기업이 생겼을 때 발생하는 이익에 대해 설명이 부족합니다. (거래비용이 왜 줄었는가? 등)

코드부분에서는 10% 수준이라고 했으나 아에 10%로 고정하니 표현을 개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현재는 row에서 index가 1,2,3 수로 존재하는데 이를 A, B, C로 바꿔주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 시장에 기업이 존재하는 경우 Utitlity 계산시 [:3] 과 같이 슬라이싱이 아닌 [’A’, ‘B’, ‘C’]처럼 불러올 수 있고 가독성 측면에서도 더 좋을 것 같습니다.

[3. 기업의 발전] 기존 기업에서 어떤 식으로 발전하여 차이점이 발생한다가 모호하게 표현되어 있어 보입니다. 현재는 오히려 기업이 발전했는데 이를 이렇게 분석할 수 있다로 표현되어 있는데, 소제목에 맞추어 조금 더 발전된 항목에 초점을 두어 글을 작성하면 맥락적으로 더 잘 다가올 것 같습니다.

[4. 기업 활동의 진화] networkx에서 사용한 Kamada_kawai_layout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언급하고 넘어가면 좋을 것 같아요. 해당 도표를 해석하는 방법도 더 자세하게 작성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 이슈가 되는 부분 (저작권, 윤리적 이슈 등) | | | 사소하지만 개선되면 좋은 부분 | [2 기업의 탄생]에서 이미지가 조금 더 매력적으로 다가오면 좋을 것 같아요. 아니면 차라리 Table형식과 함께 보여주면 더 효과적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4. 기업 활동의 진화] 실무자와 관리자에 대해 이분법적으로 설명하는 영역이 조금은 불편하게 다가왔습니다.

사실, 너무 등 강한 강조 표현을 줄이면 편하게 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인용에 대한 넘버링이 매우 조금 가독성을 해치는 데 위첨자로 변경가능한 방법은 없을까요? | | 느낀 점 | 해당 내용에 대해서 전공하지 않은 입장으로는 글에 조금만 더 친절이 추가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는 글입니다. 하지만 좋은 내용과 재미있는 문체를 더 잘 드러나게 쓰신다면 충분히 코크리에 맞는 컨텐츠가 될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