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 모임 시간: 3시간, 오프라인 모임만 시작 시간이 7시로 확정되었습니다.
- 랩장과의 1:1 미팅도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인원이 많은 관계로 희망하시는 분만 30분 내외로 진행 예정입니다. 온/오프라인/유선 통화 다 괜찮습니다. 희망하시는 분은 연락주세요!
- 모임 전 랩장 Action item
- 모임 전 Action Item
- 모임 후 Action Item
LAB 소개
👀챗GPT로 대표되는 생성AI 시대에 🔎LLM 실험연구실은 보다 실질적인 "활용"에 집중해요.
여러분들은 챗GPT에게 "천천히 심호흡을 하고 차근차근 문제를 풀어봐" 라고 할 때, 정확도가 두 배 이상 향상되는 걸 알고 계셨나요? (34% -> 80.2%)
단순해보이는 이와 같은 실험 결과는 놀랍게도 구글의 딥마인드에서 발표한 논문이어요. [1]
💬챗GPT 같은 LLM 연구는 엄청난 GPU 파워를 가진 OpenAI, MS, Google 등에서만 진행할 수 있는 연구아니냐고요?
직접 LLM을 만드는 게 목표라면 그럴지도 모르지만 응용 연구에서는 그렇지 않아요. 풀고 싶은 문제와, 학습 시킬 수 있는 데이터, LLM 실험 환경만 갖춰진다면 누구나 할 수 있어요.
LLM 실험연구방법은 실제 대학에서 재직 중인 랩짱이 알려줄거에요. 데이터는 함께 모을 수 있어요. 풀고 싶은 문제가 있나요? LLM 실험연구실과 함께해요! 🤗
[1] Yang, C., Wang, X., Lu, Y., Liu, H., Le, Q. V., Zhou, D., & Chen, X. (2023). Large language models as optimizers. arXiv preprint arXiv:2309.03409.
LAB 계획
- 주 1회 온라인 랩미팅을 기반으로 월 1회 모두연 강남 센터(혹은 신촌 세미나실)에서 오프라인으로도 만나요.
- 지방에 있어 피치 못하게 참석이 어려운 분들을 위해 오프라인 모임에서도 온라인 참여 링크를 공유해드려요.
- 관심사나 주제에 따라 3~5명씩 Co-Author 팀을 만들어요.
- 초기에는 다양한 LLM 실험 연구 논문을 리뷰하며 서로를 알아가요.
- 랩짱 주도로 인과관계 추론, LLM 실험 연구 방법론을 알려드려요.
- 세션을 마치면 Vector DB를 통한 나만의 LLM을 만들 수 있게 되어요. (참고: https://kanonup.com/chatgpt-algo/ )
- LLM을 만들고 본격적인 실험을 진행해요.
- 데이터를 분석하고 논문 작업을 진행해요.
LAB 목표
- 각 그룹별 1기 활동 기간 중 SCIE 저널 논문 or 컨퍼런스 페이퍼 투고
- 투고 논문 및 컨퍼런스 페이퍼 Accept
Archive
📢 LAB 주차별 활동
LAB 발표 자료실
제목 없음
LAB 자료실
온보딩 가이드 v1.1.0
LAB 연구원
LAB 활동 (클릭)
구글드라이브 공유 자료
논문 자료
GPU 서버 지원 안내
팀원들과 연구주제가 달라요
팀별 연구 공간
Team 5 (Edu)
Team 6 (NLP)
Team 7 (LLM)
Team 9 (HCI)
Vision 2
비전1팀
Language (1)
팀이름을 입력해주세요 (1)
팀이름을 입력해주세요 (1)
유태균
팀별 연구 현황판
팀별 연구 진행 상황
LAB 연구원 소개 및 팀 구성
-
소개글, 관심사 등을 고려하여 팀 이름을 정하였으나, 연구 주제는 자유롭게 정하실 수 있습니다.
-
연구원 님들이 지원서에 작성해주신 내용을 기반으로 연구 연관성, 역량 분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팀을 편성하였습니다.
제목 없음